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 시각)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2000년대 들어 자폐를 앓는 아동이 400% 이상 급증했다”며 “임신부의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이 원인일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백악관은 2000년 150명 중 1명이던 자폐 아동 비율이 2022년에는 31명 중 1명으로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일부 지역에선 12명 중 1명이 자폐를 앓는다는 통계도 제시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복용은 태아의 자폐 발병 위험을 매우 높일 수 있다”며 “의학적으로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복용을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필요한 경우’로는 “참을 수 없을 정도의 극심한 고열”만을 예로 들며, 그마저도 최소 복용을 권했습니다. 그는 또한 FDA가 의사들에게 임신부 타이레놀 사용 제한을 즉시 통보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발표는 백신 불신론자로 알려진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 주도로 이뤄졌습니다. 정부는 최근 뉴욕 마운트사이나이 의대와 하버드대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해당 연구는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노출과 자폐 등 신경 발달 장애 사이에 양의 연관성이 다수 보고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일부 의학 협회지는 “유의미한 연관성을 찾지 못했다”는 반대 결론을 내린 바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폐 치료 대안으로 엽산 결핍 치료제 ‘류코보린’을 언급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발표 직전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제조한 류코보린 관련 약물을 승인했습니다. 한편 타이레놀 제조사인 켄뷰(존슨앤드존슨에서 분사)는 “과학적 근거가 없으며 연관성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2010년대 중반부터 제기된 타이레놀-자폐 연관성 주장은 이미 수백 건의 소송으로 이어졌습니다. 현재 뉴욕 남부 연방법원에서 병합 소송이 진행 중입니다. 이번 미국 정부의 공식 경고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해열진통제 성분에 대한 불안과 의료계 논란을 크게 확산시킬 전망입니다.